인스텝 킥은 발등으로 볼의 중심을 차는 킥으로 슈팅이나 롱 패스 등 그 용도가 다양하며 축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킥이다. 이 킥은 축구에서 하는 킥중에 가장 강한 볼을 찰 수 있는 방법이다.
인스텝 킥은 그 킥하는 방향에 따라 정면으로 보내는 킥과 진행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킥의 2가지로 나누며 요령은 다음과 같다.
|
가) 정면으로 보내는 강한 킥
① 볼을 잘 보면서 종종 걸음으로 도움닫기해서 마지막 딛는 발은 보폭을 넓게 잡으며 몸을 앞으로 밀어내는 기분으로 강하게 오른발로 지면을 뒤로 차고, 왼발의 뒷꿈치부터 볼 옆 10cm정도 되는 곳에 내딛는다. 이때 턱은 당기고 가슴은 펴며 허리는 끌어당겨 허리가 뒤에 남지 않도록 유의한다.
② 딛는발(왼발)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체를 볼보다 앞으로 하며 오른쪽 무릎도 볼 위나 그보다 앞으로 하고 발등을 볼에 맞추어 왼발로 끌어 당기는 것 같은 힘으로 오른쪽 다리를 휘둘러 찬다. 이 자세는 절대로 오른발을 앞으로 튕겨 올려서 차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한다. 바꾸어 말하면 추의 운동처럼 볼을 차 올리는 것이 아니라 젖혀졌던 대나무 가지를 놓으면 잡았던 부분으로부터 제 위치로 펴지는 것처럼 볼을 밀어내면서 찬다.
③ 찰때는 중심을 충분히 왼발에 싣는다. 초보자는 왼발보다 더 왼쪽으로 중심이 이동하는 기분으로 왼발에 체중을 옮기지 않으면 중심이 오른발에 남아 충분히 오른발을 휘두를 수가 없다.
④ 발이 볼에 닿는 순간 오른쪽 발목을 충분히 펴고, 펴든 힘을 그순간에 집중한다. 발전되면 발목의 스냅을 쓰도록 한다.
⑤ 딛는발은 무릎을 가볍게 굽히고 뒷꿈치부터 내딛는데, 무릎을 펴는 동시에 힘을 뒷꿈치에서 발끝으로 옮긴다. 이것은 오른발이 지면과 평행된 운동을 원활히 하게 해주어 발등으로 볼을 미는 순간을 길게 해서 볼에 충분한 스피드와 정확한 방향성을 주는 동시에 휘두를 때 딛는 발의 무릎과 발목의 힘이 작용, 오른발의 움직임에 가속을 주게된다.
킥 연습에서 자칫하면 차는발에 주의가 쏠리기 쉬운데 유능한 축구코치는 킥을 지도할 때, 차는 발보다 딛는 발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들은 "차는 발의 힘은 보통 차이가 없는데 딛는 발의 잘 잘못에 따라 힘의 효율이 전혀 다르다"고 말하고 있다.
⑥ 딛는 발과 볼은 가능한 한 접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낮은 볼을 보내기 위해서는 볼의 바로 옆이나 그 보다 앞에 딛고 동시에 상체를 볼보다 앞으로 내민 기분으로 앞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한다. 높이 차 올리려고 할 때는 딛는 발끝이 볼에 닿거나 조금 못 미치는 위치에 딛고 상체를 약간 젖히는 기분으로 찬다.
⑦ 정지되었거나 차기 쉬운 볼인 경우에라도 눈을 볼에서 떼지말고, 킥이 끝날 때까지 볼의 중심을 확실히 본다.
⑧ 킥이 끝난 순간에는 어깨선과 허리선이 힘차게 교차하도록 팔을 충분히 사용한다. 이 자세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킥하는 다리에 휘두르는 힘을 더해 주는데 필요하다.
⑨ 도움닫기, 내딛음에서 킥하는 순간까지 상체가 앞, 뒤, 좌, 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몸이 일직선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하도록 한다.
나) 비스듬히 앞으로 차는 킥
다리를 똑바로 휘두를 때 볼의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발등이 닿도록 하면 각도가 7∼8도 정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큰 힘의 손실없이 볼을 보낼수 있다. 또 다리의 휘두름이 정면에서 안쪽으로 휘감는 경향이 있는 플레이어가 많아 정면보다 안쪽으로 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숙련된 플레이어는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다리를 휘두름으로써 정면으로 하는 킥과 똑같은 요령으로 오른발로 우측 10도 정도 방향의 강한 인스텝 킥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기에서는 80도 이상, 극단적인 경우 180도 즉,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킥할 필요가 생긴다. 90도 이상되는 깊은 각도 방향으로의 킥은 보통 인사이드 킥을 사용하는데, 페널티에리어 밖에서 얕고 강한 슛을 할 때처럼 정확성과 강도가 요구될 경우에는 인스텝 킥이 사용된다.
2) 인사이드 킥(Inside kick)
발의 안쪽을 사용하는 킥으로, 안쪽의 앞부분을 사용하는 것과 뒷부분 또는 중앙부분을 사용하는 2 가지가 있다.
|
가) 안쪽 앞부분으로 하는 킥
비스듬히 앞으로 하는 인스텝 킥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며, 사용하는 목적도 비슷하지만 한 가지 다른 것은 볼에 맞는 부분이 발등의 정면이 아니고 엄지 발가락 밑부분이기 때문에 인스텝 킥의 경우처럼 "덮어 씌우는 것"이 아니고, 발등과 지면이 만드는 각도가 비교적 얕아진다. 충분히 폴로드로 했을 때는 인스텝 킥과 판별하기 어려우나 몇 가지 다른 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강하고 무거운 볼이 아닌 역회전된 가볍고 받을 때 트래핑하기 쉬운 성질의 볼을 보낼 때 사용된다. 슛할 때도 사용되지만 먼 거리의 패스, 특히 사람이 머리위를 넘길 정도의 높이로 볼을 보낼 때 사용되는 킥이다.
② 높이 올리려고 할 때는 딛는 발을 얕게 내딛거나 볼의 중심보다 약간 아랫부분을 차서 역회전 시킨다.
③ 딛는 발과 볼과이 관계를 정하고 발목의 스냅을 쓰게 되면 진행 방향에 대해 백수십도, 더 나아가 180도나 되는 큰 각도 방향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인스텝 킥보다는 이용범위가 넓다.
④ 오른발로 킥할 경우, 왼쪽 방향으로 보내기 쉬운데 익숙해 지면 도움닫기 방향 그대로의 정면 또는, 양간 오른쪽 방향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그것은 내딛은 다음, 몸의 비틈이나 발의 휘두름을 생각하면 된다.
나) 안쪽 뒷부분으로 하는 킥
발의 안쪽 복사뼈 부근에 볼을 맞춘다. 이 부분은 발의 제일 넓은 부위여서 볼이 뜻하지 않게 높이 와도 무릎 안쪽에 맞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고 회전이 적은 성질의 볼이 보내어지기 때문에 트래핑하기 쉬우며 나아가 짧은 동작으로 킥할 수 있기 때문에 숏 패스에 꼭 필요하며 요령은 다음과 같다.
① 딛는 발의 무릎을 가볍게 굽히고, 킥하는 발은 보통의 킥처럼 휘둘러서 볼에 닿는 순간, 발끝을 바깥쪽으로 벌리고 발 뒷꿈치를 안쪽으로 회전시켜서 킥을 한다기보다 허리를 앞으로 이동시키며 볼을 밀어내는 기분으로 찬다.
② 달리는 도중 다리를 바깥쪽으로 선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뒷꿈치를 빨리 회전시키는 힘만을 이용, 볼을 때리는 기분으로 찬다.
③ 짧은 동작으로 정확히 볼을 보내는 쇼트 패스에 사용하는 목적을 강조한 나머지, 초보때부터 가볍게 볼을 때리는 연습만을 하기 쉽다. 그러나 올바른 자세를 익히는 것이 정확성을 기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큰 동작으로 반복 연습을 하여 다리나 허리의 힘이 강해진 후에 날카로운 동작으로 실행해야 한다.
④ 허리의 비틈, 딛는 발과 볼과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오른발로 킥하는 경우라도 내딛는 방향보다 오른쪽으로 볼을 보낼 수도 있다.
3) 아웃 사이드 킥(Outside-kick)
호른발로 킥할 때 정면 또는 왼쪽 방향으로밖에 볼을 보내지 못한다고 하면 오른쪽 방향으로 패스하려고 생각한 순간 왼발로 서 있었을 때는, 오른발로 바꿔 딛고 왼발로 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상태가 되면 단 몇 분의 1초라도 늦어지게 되어 패스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 고급 전술에서는 패스 타이밍이 몇 분의 1초 또는 한발을 더 스텝 하느냐 아니냐 하는 시간이 대단히 문제가 된다. 더욱이 아웃사이드 킥이 되면 오른발 안쪽을 이용하여 왼쪽 방향으로 킥하는 동작을 써서 상대를 견제하고 바깥쪽을 써서 유유히 오른쪽 방향으로 패스할 수 있다.
4) 토 킥(Toe kick)
처음으로 볼을 차는 사람이 아무 예비 지식도 없이 볼을 차면, 거의 발끝으로 볼을 차기 쉽다. 이 발끝을 사용하는 킥을 토 킥이라고 한다.
이 킥은 좁은 발끝이 볼에 접촉되기에 부정확하므로 보통은 사용하지 않는다. 그저 킥 한다기 보다 볼을 찌르는 느낌이어서 다른 킥보다 가벼운 동작으로 5∼6미터의 거리를 보낼 수 있으므로 보통 방법으로는 상대가 먼저 볼을 건드릴 염려가 있을 때 상대보다 한시라도 먼저 볼에 도달하기 위해 이 킥을 사용할 때가 있다.
|
5) 발리 킥과 하프 발리 킥
가) 발리 킥(Volley kick)
볼이 지면에 닿지 않고 공중에 뜬 상태에서 차는 킥을 발리 킥이라고 한다. 이 킥의 용도는 매우 넓어, 숙련된 플레이어는 떠있는 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볼의 높낮이, 강약 등을 자유롭게 컨트롤하여 사용한다. 이 킥은 강하게 되면 매우 무겁고 빠른 볼이 되어 상대방의 판단이 곤란하다. 특히 슛에 사용되었을 경우 GK가 판단을 잘못하는 일이 많다. 또, 볼에 상·하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공중에 떠 있는 볼을 상대보다 한시라도 빨리 처리할 수 있는 킥의 방법으로 매우 중요한 킥이다. 킥하는 방법을 바꿔서 뒤로 볼을 보낼 수도 있으며 요령은 다음과 같다.
발의 안쪽의 가운데나 뒷부분, 때로는 바깥쪽을 사용하는 일도 있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인스텝을 이용하는 발리 킥이다. 볼리 떠 있기 때문에 정면으로 하는 킥은 자칫 너무 높이 올라가기 쉽다. 이것은 발이 볼에 닿는 순간 발등의 각도 문제인데, 얕게 킥하기 위해서는 볼에서 딛는 발이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고 또 볼의 높이가 높은 곳에서 차려면 킥하는 발의 무릎을 굽힌 채 볼에 접촉하도록 해야 한다. 킥한 발은 어차피 휘두르는 것이지만 접촉하는 순간 무릎이 다 펴지지 않는 약간 굽힌 형태이다.
높이 볼을 띄우는 것은 쉬우며 발을 수평 이상으로 올린 형태나 발목을 굽힌 형태로 볼을 차게 되면 뒤로 보내는 것도 어렵지 않다. 그러므로 수비자가 위험을 피하기 위해 「크리어」하는 킥이나 공격에서 사각안에 있는 자기편에게 패스를 보내는 데 유용한 킥이다. 무릎을 굽힌 상태로는 강력한 킥이 되지 않으므로 슛을 할 경우 여유가 있으면 사이드 스텝 같은 방법으로 목적하는 장소와 볼의 진로 등을 생각하여 딛는 발의 위치와 몸의 방향을 조절한 다음 정면이 아닌 비스듬히 앞으로 하는 인스텝 킥이 좋다. 이러한 킥을 하는 동작은 킥할 발을 옆으로 올리는 것 이외에 보통 비스듬히 앞으로 차는 인스텝 킥과 거의 다를 것이 없다. 이 방법을 쓰면 허리보다 약간 높은 볼이라도 얕고 강하게 킥 할 수 있다.
|
이 킥은 숏 패스를 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킥인데 그 요령은 다음과 같다.
① 정지된 볼을 킥할 경우는 딛는 발을 약간 뒤에 딛고, 차는 발은 발등을 충분히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며(발과 볼과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발끝을 약간 안쪽으로 향해서 볼을 똑바로 목표를 향해 밀어내듯이 다리의 아랫부분(무릎 이하)을 휘두르며 동시에 뒷꿈치를 축으로 해서 안쪽을 향한 발끝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기분으로 킥한다
② 이 킥을 달리는 도중에 할 때는 딛는 발을 볼의 약간 앞에 딛고, 차는 발은 큰 걸음을 할 때 다리의 아래 부분을 휘둘러 볼을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처럼 킥을 한다. 그리고 킥과 동시에 몸의 중심은 킥한 발로 옮겨진다. 이 킥 동작으로 가볍게 볼을 건드리면 이 동작이 드리블링에서 사용하는 바깥쪽을 향해 볼을 움직이는 경우의 동작과 같은 것이 된다.
③ 이 킥은 빠른 스피드로 달리는 동안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볼과 함께 빠른 스피드로 달리다가 볼 쪽 발을 순간적으로 바깥쪽으로 꺾어서 볼을 킥한다. 이 경우 발목의 강한 스냅이 필요하다.
|
|
|
▲<왼쪽> |
|
|
|
▲<오른쪽> |
나) 하프 발리 킥(Half-volley kick)또는 드롭 킥(Drop kick)
이 킥은 볼이 지면에 닿았다가 튀어 오르는 순간, 킥하는 발이 볼에 닿게 하는 킥이다. 또 이 킥은 인사이드나 인스텝을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아웃 사이드로도 간혹 사용된다. 문제는 발리와 마찬가지로 킥이 되는 순간, 볼의 상태에 따른 구별이다.
회전이 적고 속도가 빠른 볼을 보낼 수 있어 큰 힘을 가지지 않아도 상당한 속도의 볼이 되기 때문에 숙달된 플레이어는 패스나 슛에 널리 이용하는 킥이다. 자세나 딛는 발의 위치는 다른 킥과 다르게 특수한 요령은 없고 문제는 발이 볼에 닿는 순간 타이밍을 잡는 일이다.
킥의 기술은 볼을 임팩트 하는 발의 부위, 발의 위치, 임팩트시 발 움직임의 방향과 볼의 위치(땅볼, 하프발리, 공중볼)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음은 임팩트 하는 발의 부위를 근거로 분류한 킥의 기술들이다.
1) 인사이드 킥
발의 안쪽은 가까이에 놓인 볼을 차려할 때 사용된다. 인사이드 킥(inside kick)은 볼과 접하는 부위가 넓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킥이다. 이 킥은 짧은 거리에서 정확하게 슈팅을 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고, 동료 선수에게 짧고 조절된 패스를 할 때도 사용된다.
(1) 땅볼 킥
지면의 볼을 땅볼 킥으로 처리하는 것을 '밀어차기 패스(push pass)'라고 한다. 밀어차기 패스는 볼을 짧은 거리에서 정확하게 차기 위해 사용된다. 이 킥은 위에서 묘사한 킥 동작의 4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발 안쪽으로 킥을 하기 위해서 조절된 속도에서 직선 접근이 이루어지고, 볼을 보내려는 방향을 조절하는 디딤발의 도약이 이어진다. 도약하는 동안 백스윙은 짧고, 킥하는 다리는 킥하는 발의 방향에 따라서 바깥쪽으로 회전하여서 발의 안쪽이 볼의 뒤쪽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임팩트시 디딤발은 볼의 바로 옆에 있어야 한다. 상체와 머리는 볼보다 앞쪽에 있어야 한다. 킥하는 발은 견고한 임팩트를 위하여 최대한 발목을 고정시킨다. 킥하는 발의 방향은 팔로우 스루로 유지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 동작은 지속되어야 한다.
그림 1-8. 땅볼 인사이드 킥(밀어차기 패스)
핵심 요소
- 볼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볼에 접근한다.
- 볼의 측면에 디딤발을 놓는다.
- 디딤발의 방향을 의도한 목표를 향해 놓는다.
- 간결한 백 스윙을 한다.
- 킥하는 다리를 바깥쪽으로 돌린다.
- 발목을 최대한 구부리고 견고하게 하여 임팩트 한다.
- 목표방향으로 킥하는 다리의 스윙과 함께 팔로우 스루를 한다.
범하기 쉬운 오류
- 볼에서 너무 먼 거리에 디딤발을 놓는다.
- 볼의 중앙부분 이외의 부위에 임팩트 한다.
- 발의 안쪽에 볼이 맞지 않게 킥을 한다.
- 발목을 고정시키지 못하고 킥을 한다.
(2) 하프 발리 킥 ① 낮은 볼 핵심 요소
범하기 쉬운 오류
그림 1-9. 땅볼 처리를 위한 인사이드 킥을 이용한 하프 발리 ② 높이 띄우는 볼 핵심 요소
범하기 쉬운 오류
③ 휘어차는 볼 핵심 요소
범하기 쉬운 오류
그림 1-10. 발등의 내부와 인사이드 킥의 하프 발리 킥을 이용한 휘어차는 볼 2) 인스텝 킥 (1) 초보 선수의 인스텝 킥 지도 방법 초보자가 인스텝 킥을 배울 때 발생되는 어려움을 코치가 잘 이해하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서 숙달시켜야 한다. 다음은 인스텝 킥에 대한 5단계 지도 방법이다. 1단계 - 자세 지도
그림 1-11. 자세 지도 단계에서 코치와 선수의 자세 2단계 - 보조 킥
그림 1-12. 보조 킥의 코치와 선수의 자세 3단계 -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
그림 1-13.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 단계의 코치와 선수의 자세 4단계 - 혼자서 차기, 직선 접근 5단계 - 혼자서 차기, 곡선 접근 마지막 단계는 볼에 곡선 접근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오른 발로 찰 때 볼의 왼쪽 뒤에서 접근해야 한다. 왼발은 오른발과의 반대 경우로 한다. 직선 접근과 곡선 접근은 두 가지 차이가 있다. 곡선 접근을 할 때는 볼에서 좀 멀리 디딤발을 배치한다는 점이다 (그림 1-14). 둘째로 몸이 볼에서 멀어져 기울어져 있어서 킥하기 좋은 적당한 거리 때문에 발을 쭉 뻗기 위해서 무릎과 고관절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 선수가 곡선 접근 킥을 익힌 후에는 드리블 하면서 킥을 하도록 유도한다.
그림 1-14. 곡선 접근 인스텝 킥 (2) 땅볼 킥 ① 낮은 볼
그림 1-15. 직선 접근 인스텝 킥 시 낮은 볼로 처리하기 위한 디딤발의 위치 ② 높이 띄우는 볼
그림 1-16. 발등을 이용한 칩 킥의 발 자세 ③ 휘어차는 볼 (3) 하프 발리 킥
그림 1-17. 인스텝 하프 발리 킥의 낮은 볼 (4) 공중 볼 킥 핵심 요소
그림 1-18. 인스텝 킥의 팔로우 스루 동안에 발의 위치와 신전 된 발목 범하기 쉬운 오류
① 사이드 발리
그림 1-19.발등을 이용한 사이드 발리 핵심 요소
범하기 쉬운 오류
②시저스 킥 ㄱ.정면 시저스 킥 정면 시저스 킥(front scissor kick)은 공중 볼이나 공중으로 튀는 볼을 찰 때 사용된다. 공중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볼을 정확하게 차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정면 시저스 킥은 바운드에 의해서 볼이 느려진 경우 많이 사용된다. 킥을 하기 전에 선수는 킥하는 다리를 볼의 높이까지 도약시켜서 볼을 낮게 킥 할 수 있다(그림 1-20). 정면 시저스 킥에서 볼의 접촉은 킥하는 다리와 발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발의 안쪽이나 바깥쪽뿐만 아니라 발등으로도 가능하다.
그림 1-20.발등을 이용한 정면 시저스 킥 ㄴ. 오버헤드 시저스 킥 오버헤드 시저스 킥(overhead scissors kick)을 수행하기 위해서 선수는 킥하지 않는 발을 위로 스윙하고 몸통을 뒤쪽으로 기울이면서 공중으로 점프한다(그림 1-21 A-D). '가위질' 하듯 차는 발과 반대 발을 교차한다(그림 1-21 D-F). 차는 발을 가볍게 휘둘러 볼을 차고 턱을 가슴 쪽으로 당기며 착지 시 안전을 위해서 팔을 사용한다. 이 킥은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착지 시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하지 못하면 팔과 허리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 킥은 어린 선수에게나 다른 개인 기술이 향상되지 않은 선수에게는 가르치지 않는다. 오버헤드 시저스 킥은 수비수가 자신의 골문에서 위험한 상황에서 볼을 급하게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킥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위험한 플레이로 간주되어 간접 프리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위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오버헤드 시저스 킥은 공격수가 득점을 하기 위한 슈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림 1-21. 수비수의 클리어링을 위한 오버헤드 시저스 킥 ㄷ. 오버숄더 시저스 킥 오버숄더 시저스 킥(overshoulder scissors kick)은 오버헤드 시저스 킥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그림 1-21). 어깨너머로 몸을 비틀며 다리를 휘두른다. 이 킥은 선수가 차기 전에 어깨너머로 골을 볼 수 있는 시야가 터 있어야 한다. 착지 시 충격은 신체의 측면 부위와 킥하는 다리의 반대 팔로 흡수한다. <!-- 내용 끝 -->
|
'취미생활 >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축구용어사전★ 총 모음집 (0) | 2008.06.22 |
---|---|
[스크랩] 드리블 30가지 종합 선물 세트 (0) | 2008.06.22 |
안정환,설기현 ? 안기현,설정환 ? (0) | 2008.06.19 |
기막힌 어시스트 (0) | 2008.06.11 |
[스크랩] 멋지고 화려한 축구선수들의 개인기~!~.. (0) | 2008.06.07 |